지질하다 찌질하다 맞춤법 누군가가 보잘것이 없고 변변치 못한 경우 우리는 '지질하다' 또는 '찌질하다'라고 표현하는데요, '지질하다 찌질하다'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지질하다 찌질하다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질하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 지질하다 (O)- 찌질하다 (X) '보잘것 없고 변변하지 못하다'는 뜻을 지닌 형용사는 '지질하다'입니다. 따라서 '지질하다'가 바른 표현이며, '찌질하다'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1. 지질하다① 보잘것 없고 변변하지 못하다(예) 나는 지질한 내 인생을 후회한다.(예) 요즘은 내가 너무 지질하게 느껴진다.(예) 지질한 초가집이지만 집이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 ② 싫증 날 정도로 지루하다(예) 영화가 너무 지질해 중간에 나왔다.(예) 우리 이제 지질.. 바른용어 2024. 7. 6. 송글송글 송골송골 맞춤법 맞춤법이 헷갈리기 쉬운 말 중에 '송글송글'과 '송골송골'이 있는데요, '송글송글 송골송골' 중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송글송글 송골송골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송골송골'이 바른 표현입니다. - 송글송글 (X)- 송골송골 (O) '땀이나 소름, 물방울 따위가 살갗이나 표면에 잘게 많이 돋아나 있는 모양'을 의미하는 말은 '송골송골'입니다. 따라서 '송글송글'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① 송글송글'송골송골'의 잘못된 표현. ② 송골송골땀이나 소름, 물방울 따위가 살갗이나 표면에 잘게 많이 돋아나 있는 모양. (예) 더워서 이마에 땀이 송글송글 돋는다. (X)(예) 더워서 이마에 땀이 송골송골 돋는다. (O) (예)긴장해서 이마에 식은땀이 송글송글 맺혔다. (X)(예) 긴.. 바른용어 2024. 7. 3. 해도 된데 된대 차이 '해도 된데'와 '해도 된대'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해도 된데 된대'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도 된대'가 바른 표현입니다. - 해도 된데 (X)- 해도 된대 (O) '된대'는 '본인이 직접적으로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에게 들은 말을 다른 사람에게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하는 말로 '~된다고 해'와 같은 의미입니다. 반면 '된데'에서 '-데'는 '본인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회상하여 남에게 알려줄 때 사용하는 말로 '~더군'와 같은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된데'를 풀어보면 '된더군'이 되어 사용할 수 없는 말이 되므로 '그렇게 해도 되더군, 조금만 노력하면 되더군'과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예) 오늘부터 연습을 해도 된대. (O) - 연습을 해도 된다고 .. 바른용어 2024. 6. 22. 도저희 도저히 맞춤법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도저희'와 '도저히'가 있는데요, '도저희 도저히'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도저희 도저히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도저히'가 바른 표현입니다. - 도저희 (X)- 도저이 (X)- 도저히 (O) '(부정하는 말과 함께 쓰여) 아무리 하여도'라는 의미를 지닌 말은 '도저히'입니다. 따라서 '도저희'와 '도저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① 도저희'도저히'의 잘못된 표현. ② 도저히'아무리 하여도'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 (예) 그를 도저희 용서할 수 없다. (X)(예) 그를 도저이 용서할 수 없다. (X)(예) 그를 도저히 용서할 수 없다. (O) (예) 그 일을 도저희 잊을 수 없다. (X)(예) 그 일을 도저이 잊을 수 없다. (.. 바른용어 2024. 6. 4. 다행이도 다행히도 맞춤법 알아봐요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다행이도'와 '다행히도'가 있는데요 '다행이도'와 '다행히도'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다행이도 다행히도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행히도'가 바른 표현입니다. - 다행히도 (O)- 다행이도 (X) '다행히도'는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게'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 '다행히'에 그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도'가 붙은 형태이므로 '다행히도'가 바른 표현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장 제3절 제25항에서는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 부사가 되는 경우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혀 적도록 되어 있는데요, '다행히'는 '다행하다'가 부사가 된 경우이므로 '다행'이라는 어근에 '히'가 붙는 것입니다. - 다행히 (O)-.. 바른용어 2024. 5. 26. 끝나는대로 끝나는데로 맞춤법 알아봐요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끝나는대로'와 '끝나는데로'가 있는데요, '끝나는대로 끝나는데로'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끝나는대로 끝나는데로 맞춤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끝나는 대로'가 바른 표현입니다. - 끝나는 대로 (O)- 끝나는 데로 (X) '대로'는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즉시 또는 족족'을 뜻하는 의존명사입니다. 따라서 '도착하는 대로, 기회가 되는 대로, 일이 끝나는 대로' 등과 같이 활용됩니다. 그리고 '데로'는 '어떠한 곳이나 임의의 장소, 어떠한 일, 어떠한 경우' 등을 뜻하는 의존명사 '데'에 조사 '로'가 붙은 형태입니다. 따라서 '밝은 데로 가자, '경치가 좋은 데로 가자, 조용한 데로 가자' 등과 같이 활용.. 바른용어 2024. 5. 21. 내꺼야 내거야 맞춤법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내꺼야'와 내거야'가 있는데요, 내꺼야 내거야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내꺼야 내거야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내 거야'가 바른 표현입니다. - 내 꺼야 (X)- 내 거야 (O) '내 거야'는 '내 것이야'가 구어체로 사용되는 경우로써, 의존명사 '것'이 '거'로 사용되는 경우이므로, 발음은 '내 꺼야'로 하지만 표기는 '내 거야'로 해야 합니다. (예) 이 자동차는 내 거야 (표기)(예) 이 자동차는 내 꺼야 (발음) (예) 이 건물은 내 거야 (표기)(예) 이 건물은 내 꺼야 (발음) ※ 표기할 때는 '거야'로 하고 발음할 때는 '꺼야'로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내 거야'와 같이 띄어 적어야 합니다. - 내거야 (.. 바른용어 2024. 5. 5.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