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잘못으로 결국 사자성어 자신의 잘못으로 결국 자신이 피해를 입거나 책임을 지게 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신의 잘못으로 결국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자승자박(自繩自縛) 제 줄로 제 몸을 옭아 묶는다는 말로, 본인이 한 말과 행동으로 말미암아 본인이 구속되어 괴로움을 당하게 된다는뜻. 즉, 본인이 한 말과 행동에 본인이 구속되어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 ② 작법자폐(作法自斃) 본인이 만든 법에 본인이 해를 입는다는 뜻. 즉, 본인이 행한 일로 인해 본인이 고난을 받는 다는 뜻. 우리 속담에 '제 무덤을 제가 판다'와 같은 의미임. ③ 자업자박(自業自縛) 본인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는다는 뜻. ④ 자작자수(自作自受) 본인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는다는 뜻. ⑤.. 성어속담 2023. 3. 8. 미꾸라지 속담 미꾸라지에 관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미꾸라지 속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미꾸라지 용 됐다.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사람이 되었음을 뜻함. 2. 미꾸라짓국 먹고 용트림한다.보잘 것 없는 사람이 잘난체 하면서 허세 부림을 뜻함. 3. 미꾸라지 한 마리에 물 한 동이를 붓는다.처지에 맞지 않는 야단스러운 대비를 비꼬는 말. . 4. 미꾸라지 천 년에 용 된다.오랜 시일을 두고 힘써 노력하면 훌륭한 성과를 얻게 됨을 뜻함. 5. 용이 개천에 떨어지면 미꾸라지가 되는 법.아무리 좋은 처지에 있던 사람이라도 일단 어려움에 처하면 하찮은 사람에게까지 업신여김을 당한다는 뜻. 6.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못된 사람 하나가 집안이나 사회에 온통 폐를 끼치는 경우를 뜻함. 7... 성어속담 2023. 2. 24.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 뜻 및 사자성어 우리 속담에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말이 있는데요,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속담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 뜻 및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음에 들지않는 대상이나 집단을 애써 바꾸려 노력하지 않고 본인이 관심을 끊고 떠남을 의미.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속담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로는 '승염이사'와 '사염승거'가 있습니다. ① 승염이사(僧厭離寺)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뜻. ② 사염승거(寺厭僧去)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뜻. 또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성어로는 '오사즉승리'가 있습니다. ※ 오사즉승리(惡寺則僧離)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는 뜻. ① 같은 물이라도 소가 마시면 젖이 되고, 뱀이 마시면 독이 된다. (.. 성어속담 2023. 2. 20. 어리석다 사자성어 '어리석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어리석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숙맥불변(菽麥不辨) 콩인지 보리인지 분간하지 못한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을 뜻함. 2. 정중지와(井中之蛙)우물안 개구리라는 말로, 식견이 좁아 세상물정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뜻함. 3. 정저지와(井底之蛙)우물안 개구리라는 말로, 견식이 좁아 저만 잘난 줄 알거나 세상물정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뜻함. 4. 정중관천(井中觀天)우물 안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말로, 견문이 아주 좁고 어리석다는 뜻. 5. 좌정관천([坐井觀天)우물 안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말로, 견문이 아주 좁고 어리석다는 뜻. 6. 수주대토(守株待兎)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발전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뜻함. 7. .. 성어속담 2023. 2. 19.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 사자성어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는 속담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갰습니다. 새로 들어온 사람이나 새로 생긴 것이 본래 터를 잡고 있었던 사람이나 이미 자리잡고 있던 것을 내쫓거나 밀어낸다는 뜻. ① 주객전도(主客顚倒)주인과 손님의 처지가 뒤바뀐다는 말로, 서로 입장이 뒤바뀜을 뜻함. ② 객반위주(客反爲主) 손님이 도리어 주인이 된다는 말로, 서로 입장이 뒤바뀜을 뜻함. ③ 본말전도(本末顚倒)일이 처음과 나중이 뒤바뀌거나, 사물의 순서나 위치 또는 이치가 거꾸로 됨을 뜻함. ④ 반객위주(反客爲主)손님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말로, 수동적인 상황에서 틈을 노려 주도권을.. 성어속담 2023. 2. 14.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사자성어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과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를 조정하는 사공이 많아 배가 바다가 아닌 산으로 간다는 말로, 주관하는 사람없이 여러 사람이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면 일이 제대로 되기 어렵다는 의미.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과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일국삼공' '중구난방' '다기망양' 등을 들 수 있습니다. ① 일국삼공(一國三公)임금이 셋 있다는 말로, 지시하는 윗사람이 너무 많아 아랫사람이 누구의 말을 따라야 할 지 알 수 없음을 뜻함. ② 중구난방(衆口難防) 여러 사람의 입은 막기가 어렵다는 말로, 일일이 막아 내기 어렵게 사방에서 마구 떠들어 댐을 뜻함. .. 성어속담 2023. 2. 12.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