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식이 희소식이다 무소식이 희소식 뜻 무소식이 희소식이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무소식이 희소식이다는 어떤 뜻일까요? 무소식이 희소식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식이 없는 것은 오히려 무사히 잘 있다는 징조로, 곧 기쁜 소식이나 다름이 없다는 뜻입니다. (예) 어머니는 객지에 나간 아들이 편지 한 통 없어도 무소식이 희소식이라고 걱정을 하지 않았다. (예) 무소식이 희소식이라지만 유학을 간 자녀에게 연락이 오지 않으니 걱정이 된다. (예) 무소식이 희소식이라고 객지에 있는 제가 자주 연락 안 한다고 해서 너무 섭섭해 하지 마세요. ① 무소식(無消息) 안부 따위에 대한 기별이나 알림이 없음. 즉, 소식이 없음을 뜻함. ② 희소식(喜消息) 기쁜 소식을 뜻함. ③ 무소식(無消息)이 희소식(喜消息) 소식이 없는 것은 오히려 무사히 잘 있다는 징조이므.. 성어속담 2023. 10. 5.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본다 뜻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본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본다는 속담은 어떤 뜻일까요?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본다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전체를 못보고 일부만 보는 근시안적인 태도나 사고방식을 뜻합니다. ※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본다. 부분만 보고 전체는 못보는 근시안적인 태도나 사고방식. (예) 이 학교 학생들은 나무만 보고 숲은 못보는 수준의 실력이다. (예) 그는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보기 때문에 아무리 애를 써도 발전이 없다. (예) 사람들은 자신이 나무만 보고 숲을 못본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속담에서 '나무'는 당장 눈앞에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숲'은 '수풀'의 준말로 전체나 먼 훗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속담은 눈앞의 가까운 것만 보고 만족하거나 앞낲의 일을 짐작하는 어리.. 성어속담 2023. 9. 30. 비슷한 사람끼리 어울린다는 뜻 및 사자성어 비슷한 사람끼리 어울린다는 말은 어떤 뜻일까요? 또 비슷한 사람끼리 어울린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비슷한 사람끼리 어울린다는 뜻 및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서로 같은 처지나 환경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돕거나 동정하면서 친하게 지낸다는 뜻. ② 서로 기질이나 뜻 또는 여건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서로 잘 통하므로 자연이 어울리게 된다는 뜻. ① 동기상구(同氣相求) 기질과 뜻이 같은 사람끼리 서로 찾아서 모이게 된다는 뜻. ② 동성상응(同聲相應) 같은 소리끼리는 서로 응하여 울린다는 말로,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통하므로 자연히 모이게 된다는 뜻. ③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말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동정하고 돕게.. 성어속담 2023. 9. 27. 화중지병 뜻 화중지병 유래 화중지병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화중지병은 어떤 뜻일까요? 화중지병 뜻, 화중지병 유래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림 속의 떡이란 말로,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어찌할 수 없음을 뜻합니다. ※ 화중지병(畵中之餠) 그림 속의 떡이란 말로,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어찌할 수 없다는 뜻. 즉, 그림 속의 떡처럼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소유하지도 사용하지도 못한다는 뜻입니다. 금은방에 전시된 화려한 보석이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돈이 없어 구입하지 못한다면 바로 그것이 화중지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대기업에 입사하고 싶어도 실력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화중지병일 뿐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화중지병의 개별 한자의 뜻은 (畵 : 그림 화) (中 : 가운데 중) (之 : 갈 지) (餠 : 떡 병)입니다. 직역하.. 성어속담 2023. 9. 20. 구상유취 뜻 구상유치 유래 및 예문 구상유치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구상유취는 어떤 뜻일까요? 구상유치 뜻, 구상유치 유래, 구상유치 예문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입에서 젖비린내가 난다는 말로, 말이나 행동이 유치해서 얕잡아 본다는 뜻입니다. ※ 구상유취(口尙乳臭) 입에서 젖비린내가 난다는 말로, 말이나 행동이 유치함. 구상유치의 개별 한자의 뜻은 (口 : 입 구) (尙 : 오히려 상) (乳 : 젖 유) (臭 : 냄새 취)입니다. (예) 구상유취한 애송이가 뭘 알아? (예) 그는 구상유취한 철부지 같아. (예) 역시 구상유치하게 노는구나. (예) 그는 행동이 어눌해 친구들에게 구상유취라는 소리를 듣는다. 출전은 중국 사기입니다. 한나라 왕 유방과 초나라 왕 항우가 천하를 놓고 패권을 다툴 때 이야기다. 그 당시 한나라에 복종하던 위나.. 성어속담 2023. 8. 26. 이별 사자성어 이별에 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별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거자필반(去者必返) 헤어진 사람은 언젠가는 반드시 돌아오게 된다는 뜻. 2. 뇌봉전별(雷逢電別) 천둥같이 만났다가 번개같이 헤어진다는 말로, 잠깐 만났다가 곧바로 헤어졌다는 뜻. 3. 분수상별(分袖相別) 서로 소매를 나누고 헤어진다는 말로, 작별한다는 뜻. 4. 분수작별(分手作別) 서로 손을 놓고 작별한다는 뜻. 5. 불귀애인(不歸愛人) 돌아올 수 없는 곳으로 가버린 사랑하는 사람을 뜻함. 6. 삼상지탄(參商之歎) 두 사람이 멀리 떨어져 있어 서로 만나기 어려움을 탄식한다는 뜻. 7. 생리사별(生離死別) 살아서는 서로 멀리 떠나 있고 죽어서는 이별한다는 뜻. 8. 애별리고(愛別離苦)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 성어속담 2023. 8. 24. 삼년불비 우불명 뜻 및 유래 삼년불비 우불명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는데요, 삼년불비 우불명은 어떤 뜻일까요? 삼년불비우불명 뜻, 삼년불비우불명 유 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3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말로, 훗날 웅비할 기회를 기다리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절실한 마음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인내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문으로는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三 : 석 삼) (年 : 해 년) (不 : 아닐 불) (飛 : 날 비) (又 : 또 우) 不 : 아닐 불) (鳴 : 울 명)입니다. 출전은 중국의 여씨춘추입니다. 춘추시대 초기, 초나라 장왕은 즉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오늘부터 과인에게 직언하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 이렇게 .. 성어속담 2023. 8. 18.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