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갈때 조심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잘 나갈때 조심하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성어들이 있을까요? 잘 나갈때 조심하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① 거안사위(居安思危)아무런 문제없이 편안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위험할 때의 일을 미리 생각하고 경계한다는 뜻입니다. ② 기화가거(奇貨可居)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매매한다는 말로, 본인에게 주어진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항상 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③ 말마이병(抹馬利兵)평화로운 시절이라도 말에게 먹이를 먹이고 칼을 갈아서 미리 전쟁에 대비한다는 뜻입니다. ④ 방환미연(防患未然)특별한 사고나 재해가 없더라도 사고나 재해 등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뜻입니다. ⑤ 사전포석(事前布石)좋지않은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손을 써서 준비한다는 뜻입니다.. 성어속담 2025. 1. 7. 구밀복검과 면종복배 뜻 참고하세요 구밀복검과 면종복배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구밀복검과 면종복배는 어떤 뜻을 지닌 사자성어일까요? 구밀복검과 면종복배 뜻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① 구밀복검구밀복검(口蜜腹劍)은 '입속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말로, 겉으로는 친한 체하나 속으로는 미워하거나 해칠 의도가 있다'는 뜻입니다. 구밀복검의 개별 한자의 뜻은 (口 : 입 구) (蜜 : 꿀 밀) (腹 : 배 복) (劍 : 칼 검)입니다. ② 면종복배면종복배(面從腹背)는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배반한다'는 뜻입니다. 면종복배의 개별 한자의 뜻은 (面 : 낮 면) (從 : 좇을 종) (腹 : 배 복) (背 : 배반할 배)입니다. ① 소리장도(笑裏藏刀)웃는 마음속에 칼이 있다는 말로, 겉으로는 웃고 있으나 마음.. 성어속담 2024. 12. 10. 가훈으로 할만한 사자성어 가훈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가훈으로 할만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훈으로 할만한 사자성어, 가훈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집안이 화목하면 무엇이든지 잘 된다는 뜻입니다. 2. 군가수복(君家受福)어진 행실은 행복한 가정을 이룬다는 뜻입니다. 3. 공명정대(公明正大)하는 일이나 행동이 아주 공정하고 떳떳하다는 뜻입니다. 4. 공평무사(公平無私)매사에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는 뜻입니다. 5. 극기복례(克己復禮)욕심을 버리고 예의와 법도를 따르는 바른 행동을 한다는 뜻입니다. 6. 무괴아심(無愧我心)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라는 뜻입니다. 7. 무언실천(無言實踐)모든 일은 말없이 실천하라는 뜻입니다. 8. 솔선수범(率先垂範)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하여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된다는.. 성어속담 2024. 11. 4. 부화뇌동 뜻 부화뇌동 유래 및 한자 참고하세요 '부화뇌동'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부화뇌동'은 어떤 뜻일까요? 부화뇌동 뜻, 부화뇌동 유래, 부화뇌동 한자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우뢰 소리에 맞추어 함께 행동한다는 말로, 뚜렷한 소신이나 줏대없이 그저 남의 의견에 따라 움직인다'는 뜻입니다. '부화뇌동'을 '부화내동' 또는 '부아내동'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부화뇌동'만 올바른 표현이므로 잘못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부화뇌동 (O)- 부화내동 (X)- 부아내동 (X) 한자는 附和雷同(부화뇌동)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附 : 붙을 부) (和 : 응할 화) (雷 : 우뢰 뇌) (同 : 함께할 동)입니다.공자께서는 "군자는 화합하되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하되 화합하지 않는다" 라고 말씀을 하셨는데요, .. 성어속담 2024. 9. 24.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비슷한 속담 참고하세요 '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함께 협력해서 하면 훨씬 더 쉽고 효과적이다'는 뜻을 지닌 속담이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인데요,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와 뜻이 비슷한 속담은 무엇일까요?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비슷한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① 종잇장도 맞들면 낫다.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혼자 하는 것보다 여럿이 함께 힘을 모아 하는 것이 더 쉽고 효과적이다는 뜻. ② 백지 한 장도 맞들면 낫다.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함께 협력해서 추진하면 훨씬 더 쉽고 효과적이다는 뜻.③ 초지장도 맞들면 낫다.아무리 쉬운 일이라도 서로 힘을 모아서 노력하면 훨씬 더 수월하고 효과적이다는 뜻. ④ 개미 천 마리가 모이면 맷돌도 든다.아무리 미약한 힘이라도 서로 힘을 합하면 어렵고 힘든 일도 거뜬하게 해낼 수 있다는 뜻. ⑤ .. 성어속담 2024. 9. 13. 엎드려 절받기 뜻 엎드려 절받기 사자성어 '엎드려 절받기'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엎드려 절받기'는 어떤 뜻일까요? '엎드려 절받기 뜻'과 '엎드려 절받기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상대편은 자기를 대접해 줄 마음이 조금도 없는데 자기가 요구하여 억지로 대접을 받는 경우를 뜻함. (예) 동생에게 엎드려 절받기처럼 조르고 졸라 겨우 생일 선물을 받았다.(예) 고맙다는 말을 듣고 싶어서 한 말은 아닌데, 결국은 엎드려 절받는 꼴이 되었네. 우리나라의 경우 본인이 상대방에게 엎드려 절을 하면 상대방도 엎드려 절을 받습니다. 이런 상황은 마치 본인이 절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본인이 먼저 엎드렸기 때문에 본인이 요구하여 절을 받은 겪이 됩니다. 그래서 '엎드려 절받기'는 상대편은 대접해 줄 마음이 조금도 없는데 자기가 요구하여 억지로.. 성어속담 2024. 8. 12.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사자성어 심상사성(心想事成)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심상사성(心想事成)입니다. 심상사성(心想事成)은 '생각하고 마음먹은 대로 일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입니다. ※ 심상사성(心想事成)생각하고 마음먹은 대로 일이 이루어짐.생각하고 마음먹은 대로 일이 이루어진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러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생각했던 일을 성공시키기 위해서 정성과 최선을 다한다면 '심상사성'이 실제로 실현될 것입니다. 심상사성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로는 유지경성(有志竟成), 지재유경(志在有逕), 득의지추(得意之秋)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① 유지경성(有.. 성어속담 2024. 8. 1.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