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히기 맞추기 차이 참고하세요
그 의미가 헷갈리는 단어 중에 '맞히기'와 '맞추기'가 있는데요, '맞히기 맞추기'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맞히기 맞추기 차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맞히기 맞추기 차이>
① '맞히기'의 기본형인 '맞히다'는 '질문 등에 대해 옳게 답하다 / 겨냥한 곳에 들어맞게 하다 / 비나 눈 또는 바람을 맞게 하다 / 사람의 마음을 외면하다 / 주사나 침으로 찌르거나 놓게 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주로 '정답 맞히기 / 바람 맞히기 / 비 맞히기 / 과녁 맞히기 / 새 맞히기 / 주사 맞히기 / 침 맞히기' 등으로 사용합니다.
(예문) 정답 맞히기를 하고 있다.
(예문) 과녁 맞히기를 하고 있다.
(예문) 새총으로 새 맞히기를 했다.
(예문) 수수께끼 맞히기를 하고 있다.
② '맞추기'의 기본형인 '맞추다'는 '가지런하게 하다 / 떨어져 있는 부분을 잘 맞게 붙이다 / 비교하여 살펴보다 / 서로 조화를 이루다 / 타인의 의도에 맞게 행동하다 / 어느 기준에 맞도록 하다 / 기준에 어긋나지 않게 조정하다 / 일정한 수량이 되도록 하다 / 시간이나 기일을 지키다 / 사전에 주문하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주로 '퍼즐 맞추기 / 시간 맞추기 / 보조 맞추기 / 기준 맞추기 / 인원 맞추기 / 줄 맞추기 / 비위 맞추기 / 기분 맞추기 / 안경 맞추기 / 옷 맞추기' 등으로 사용합니다.
(예문) 퍼즐 맞추기를 하고 있다.
(예문) 조각 맞추기를 하고 있다.
(예문) 비위 맞추기가 정말 힘들다.
(예문) 시간 맞추기가 정말 어렵다.
<맞히다 쓰임>
타동사로서 맞혀, 맞히니, 맞히고, 맞히어 등으로 활용되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 질문 등에 대해 옳게 답하다.
(예) 열 문제 중 다섯 문제를 맞혔다.
(예) 예언가들은 앞날을 잘 맞힌다.
② 겨냥한 곳에 들어맞게 하다.
(예) 총으로 날아가는 새를 맞혔다.
(예) 화살을 과녁에 정확히 맞혔다.
③ 비나 눈 또는 바람을 맞게 하다.
(예) 새옷을 비를 맞히고 말았다.
(예) 선풍기 바람을 맞혀 양말을 마르게 했다.
④ 사람의 마음을 외면하다.
(예) 영수는 영희를 바람 맞혔다.
(예) 나는 친구를 바람 맞혔다.
⑤ 주사나 침으로 찌르거나 놓게 하다.
(예) 의사는 환자에게 주사를 맞혔다.
(예) 한의사는 환자에게 침을 맞혔다.
<맞추다 쓰임>
타동사로서 맞춰, 맞추고, 맞추니, 맞추어 등으로 활용되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 가지런하게 하다.
(예) 학생들은 줄을 맞춰 서있다.
(예) 군인들은 줄을 맞추고 있다.
② 떨어져 있는 부분을 잘 맞게 붙이다.
(예) 나는 지금 퍼즐을 맞추고 있다.
(예) 그는 조각 맞추기를 좋아한다.
③ 비교하여 살펴보다.
(예) 시험 정답을 친구와 맞춰 보았다.
(예) 수수께끼 맞추기를 하고 있다.
④ 서로 조화를 이루다.
(예) 서로 발을 맞춰 걷고 있다.
(예) 서로 호흡을 맞춰 악기를 연주한다.
⑤ 타인의 의도에 맞게 행동하다.
(예) 친구의 비위를 맞춰 주었다.
(예) 상사의 비위를 맞춰 주었다.
⑥ 어느 기준에 맞도록 하다.
(예) 시간에 맞춰 우유를 줘야 한다.
(예) 서로 수준을 맞출 필요가 있다.
⑦ 기준에 어긋나지 않게 조정하다.
(예) 알람을 아침 7시에 맞춰 두었다.
(예) 규정에 맞도록 교복을 맞추었다.
⑧ 일정한 수량이 되도록 하다.
(예) 함께 여행할 인원을 맞췄다.
(예) 주문량을 맞춰 배달해야 한다.
⑨ 시간이나 기일을 지키다.
(예) 납품 기일을 맞춰야 한다.
(예) 입금 날짜를 꼭 맞춰야 한다.
⑩ 사전에 주문하다.
(예) 결혼식 예복을 맞추었다.
(예) 돋보기 안경을 맞추고 왔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바른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유증 휴유증 맞춤법 참고하세요 (1) | 2024.12.24 |
---|---|
갇히다 갖히다 맞춤법 참고하세요 (0) | 2024.10.19 |
게 께 맞춤법 참고하세요 (0) | 2024.08.29 |
창피하다 챙피하다 맞춤법 알아봐요 (0) | 2024.08.27 |
머지않아 멀지않아 차이 (0) | 2024.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