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속담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

꿈해몽인 2023. 7. 19.

'다다익선'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다다익선'의 반대말은 무엇일까요?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多多益善)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말로, 많을수록 더 많은 능력과 힘을 발휘하거나 유리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다익선의 반대말로는 '과유불급'과 '소수정예'를 꼽을 수 있습니다. 

 

 

① 과유불급(過猶不及)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

 

② 소수정예(少數精銳) 

적은 수의 정예 인원으로 활동함을 뜻함.

 

다다익선은 한자로는 '多多益善'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多 : 많을 다)  (多 : 많을 다)  (益 : 더할 익)  (善 : 좋을 선)입니다.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

 

<다다익선 유래>

출전은 중국 사기의 회음후열전입니다. 

 

 

한나라 고조 유방은 천하를 통일 후 통일에 일등공신인 초나라 왕 한신이 늘 위험한 존재라고 여기면서, 계책을 써서 한신 을 잡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한신의 지위를 회음후로 낮추고 도읍인 장안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감시했다.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

 

고조 유방은 조용한 틈을 타서 한신과 함께 여러 장수들의 능력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는데, 느닷없이 한신에게 다음과 같 이 질문을 하였다.

 

"짐은 얼마나 많은 군사를 거느릴 수 있다고 보는가?" 그러자 한신이 말했다. "폐하께서는 한 십만 정도 거느릴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되옵니다." 그러자 유방은 한신에게 물었다. "그러면 그대는 어느 정도를 생각하는가?" 한신은 "예,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다다익선 반대말 다다익선 유래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고조 유방은 웃으며 말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그대는 왜 십만 밖에 거느리지 못하는 내 포로가 되었는가?"

 

한신은 이렇게 대답했다. "폐하께선 병사를 거느리는데는 능하지 않지만 장수를 잘 다스리십니다. 이것이 바로 신이 폐하 의 포로가 된 이유입니다. 그리고 폐하께선 하늘이 내리셨으므로 사람의 일이 아니라고 사료되옵니다." 이이야기에서 다다익선이 유래된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