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에이즈 신속검사 (서울시) 참고하세요
서울시는 2015년 3월부터 서울시 자치구 보건소에서 거주지와 관계없이 누구나 익명으로 에이즈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시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서울시의 각 보건소 에이즈 신속검사는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서울시 보건소 에이즈 신속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소 에이즈 신속검사>
① 검사방법
손가락을 천자하여 나온 혈액 한 방울을 검사기구에 떨어뜨려서 검사합니다. 검사를 받는 사람은 혈액을 채취 후에 보건소 인근에서 약 20분 정도 기다린 후 검사실을 방문 또는 전화로 감염여부(결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검사 결과는 20분 이내로 나옵니다.
전화로 확인하는 경우는 접수증에 기재된 숫자나 가명을 말해주면 됩니다. 검사 결과 음성이면 정상이고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는 정밀검사 대상자로 안내를 받습니다. 참고로 HIV 감염이 의심되는 행동을 했다면 그후 12주가 지나서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② 검사할 수 있는 시간대
평일 10:00~17:00까지 가능한데요, 오전에는 대기자가 많아 혼잡할 수 있으므로, 오후에 방문하면 좀 더 편리합니다.
<검사시 참고사항>
① 신속검사 결과에 따라 정밀검사를 위한 채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및 보건소의 에이즈 검사방법은 감염 가능성을 가려내는 1차 검사(선별검사)로써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는 정확한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밀검사기관의 판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한 채혈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보건소 신속검사 결과에 따라 정밀검사를 위한 채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② 정밀검사 대상자라고 해도 실제 감염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너무 놀라지 마시고 보건소의 안내에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소 검사에서 이상소견인 경우는 실제 감염으로 인한 경우도 있지만 복용하는 약이나 기타 사유가 더 많습니다. 이는 현행 선별검사법의 어쩔 수 없는 한계로, 정밀검사 대상자라고 해도 실제 감염이 아닌 경우가 더 많으니 놀라지 마시고 보건소의 안내에 따라 주세요.
③ 보건소 HIV 신속검사(에이즈 신속검사)는 미성년자라면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후에 검사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 HIV 검사(에이즈 검사)는 익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검사를 받으시는 분의 정확한 나이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HIV 검사에 대한 법적 책임은 서울시 및 보건소는 없습니다. 만약, 미성년자로서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위해 보건소 에이즈 담당자 연락처로 전화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 용띠 성격 남자용띠와 잘맞는띠 참고하세요 (0) | 2025.01.24 |
---|---|
안전벨트 미착용 벌금 벌점 참고하세요 (0) | 2024.09.21 |
아버지 사촌형제 호칭 참고하세요 (0) | 2024.09.15 |
소고기 1인분 몇그램 소고기 한근은 몇그램 일까요 (0) | 2024.05.17 |
겨울철 화초관리요령법 겨울철 실내 화분 관리 (0) | 2023.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