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상식

까마귀 길조 흉조 진실 알아봐요

꿈해몽인 2025. 2. 28.

통상적으로 까마귀는 불길한 새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까마귀는 과연 길조일까요? 흉조일까요? 까마귀 길조 흉조에 대한 진실을 알아보겠습니다.

까마귀 길조 흉조

<까마귀 길조로 보는 이유>

까마귀는 지능이 높은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도구를 사용하거나, 먹이를 저장하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사회적인 집단 생활을 하며 서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지능과 사회성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줍니다. 

 

 

검은색 깃털 역시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검은색은 어둠, 죽음, 파괴 등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생명력, 부활, 지혜 등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중적인 의미 때문에, 까마귀는 종종 신비로운 존재로 여겨집니다.

까마귀 길조 흉조 진실 알아봐요 - undefined - undefined - <까마귀 길조로 보는 이유>

또 까마귀는 해충을 잡아먹는 등 인간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형성된 민속신앙에서도 까마귀는 신성한 새로 묘사되며,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까마귀 길조 흉조 진실 알아봐요 - undefined - undefined - <까마귀 길조로 보는 이유>

<까마귀 흉조로 보는 이유>

반면에 까마귀는 불길한 징조를 나타내는 흉조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로 까마귀의 울음소리는 대체로 시끄럽고 불쾌한 느낌을 줍니다. 게다가 까마귀는 죽은 동물의 시체를 먹는 등의 행동을 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로 까마귀가 무리를 지어 날아다니거나, 한 곳에 모여 있는 모습은 공포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까마귀가 죽음이나 재앙을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까마귀는 과거부터 전쟁, 전염병, 기근 등의 재앙과 연관되어 왔습니다. 이로 인해 까마귀는 불길한 존재로 인식되었고, 지금까지도 일부 문화에서는 까마귀를 흉조로 여기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까마귀가 부모님의 은혜를 모르는 자식을 상징하는 새로도 여겨져 효(孝) 사상을 강조하는 문학 작품에서도 자주 등장했습니다.

까마귀 길조 흉조 진실 알아봐요 - undefined - undefined - <까마귀 흉조로 보는 이유>

<까마귀 관련 민속과 전설>

먼저 정월대보름 전날인 열나흗날 저녁에 까마귀밥을 해놓는다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는 까마귀가 저승사자를 인도하는 새이기 때문에 밥을 주어 좋은 곳으로 인도해 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전설속에서 까마귀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고구려의 건국 신화에서는 주몽이 부여를 탈출할 때, 까마귀가 나타나 다리를 놓아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또 신라의 석탈해 신화에서는 탈해가 신라에 도착했을 때, 까치가 안내를 해주고, 까마귀가 따라와 호공의 집을 빼앗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까마귀 길조 흉조 진실 알아봐요 - undefined - undefined - <까마귀 관련 민속과 전설>

<까마귀 길조 흉조에 대한 결론>

동양에서는 대체로 까마귀를 불길한 새로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검은색 깃털과 울음소리가 죽음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까마귀는 장례문화와 관련된 상징으로 자주 등장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까마귀가 나타나면 불길한 일이 생길 것이라는 믿음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이에 반해 서양에서는 까마귀를 길조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테나 여신이 까마귀를 자신의 상징으로 삼았으며 북유럽 신화에서는 최고의 신 오딘의 어깨 위에 앉아 세상을 관찰하는 까마귀 '후긴(Huginn)'과 '무닌(Muninn)'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까마귀는 우리의 생각에 따라 길조가 될 수도 있고 흉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까마귀는 대체로 지능이 높고 인간과 친숙한 동물로서 해충을 잡아먹어 인간에게 도움을 주고, 나쁜 소식은 미리 알려 경각심을 지니도록 해주므로 길조로 여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댓글